정부지원금

모성보호시간

임신 중 꼭 알아야 할 법정 권리

지금 바로 신청 안하면 늦어요!

모성보호시간 신청 자격 (핵심 요약)

정확한 자격 확인이 거절 없는 사용의 첫걸음

임신 주수: 1~12주(초기) 또는 36주 이후 (공무원은 32주 이후)
고용형태: 정규직·계약직·기간제·시간제 등 고용보험 가입자
사업장 규모: 전 사업장 적용(급여 기준은 규모별 상이)
공무원: 전국 임신 초기·후기 여성 공무원에 2025.07.22부터 동일 적용

🤰

세부 자격 요건 (반드시 충족)

1. 근무시간·사용시간

• 사용일 기준 최소 4시간 이상 근무해야 하며, 하루 최대 2시간까지만 단축 가능

2. 중복·연장 금지

육아시간과 중복 불가, 사용 당일 시간외근무 불가

3. 거부 제한

정당한 사유 없는 사업주 거부 불가(거부 시 과태료). 예: 임신 10주라도 근무 3시간이면 요건 미충족

신청 절차·주의사항 요약

1. 필수 기재·첨부

• 신청서에 임신 주수·사용 기간 기재, 진단서/임신확인서 첨부

2. 공무원 유의

육아시간과 같은 날 중복 불가, 임신검진휴가와는 같은 날 사용 가능(신청서 구분 표기)

3. 내부 규정 확인

• 회사·기관 내부 양식/절차 상이 가능 → 인사규정·서식 사전 확인 필수

모성보호시간 제도 상세 안내

모성보호시간은 임신 초기·후기 여성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법에서 보장하는 법정 권리입니다.
정확한 자격과 요건을 이해하면 불필요한 거절 없이 당당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성보호시간 신청 자격 표

구분 자격 조건 비고
임신 주수 1~12주(초기) 또는 36주 이후
(공무원: 32주 이후)
중기(13~35주) 원칙적 불가,
건강 사유 시 예외
고용 형태 정규직·계약직·기간제·시간제 등
고용보험 가입자
사업장 규모 무관
사업장 규모 전 사업장 적용 급여 지급 기준 상이
공무원 전국 임신 초기·후기 여성 공무원 2025.07.22부터 동일 적용